반응형
1. 설치
# 난 무조건, 홈디렉토리 밑에 venv폴더를 만들고 이 속에 모든 가상환경을 만든다.
$ python3 -m venv ~/venv/comfyui
$ source ~/venv/comfyui/bin/activate
#-----------------------------------------------------
# torch, torchvision 설치
#-----------------------------------------------------
# 다른 글에서 설명한 torch, vision, audio 설치대로 따름.
#
(comfyui) $ pip uninstall pytorch torchvision
(comfyui) $ pip uninstall setuptools
(comfyui) $ pip install setuptools==65.5.1
(comfyui) $ pip install torch-2.1.0a0+41361538.nv23.06-cp38-cp38-linux_aarch64.whl
(comfyui) $ cd torchvision-0.16.1
(comfyui) $ export BUILD_VERSION=0.16.1
(comfyui) $ python3 setup.py install
(comfyui) $ cd ..
#-------------------------------------------------------
(comfyui) $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comfyui) $ deactivate
$ git clone https://github.com/comfyanonymous/ComfyUI.git
$ cd ComfyUI
2. 실행
$ cd ComfyUI
$ source ~/venv/comfyui/bin/activate
(comfyui) $ python3 main.py
Total VRAM 30991 MB, total RAM 30991 MB
pytorch version: 2.1.0a0+41361538.nv23.06
Set vram state to: NORMAL_VRAM
Device: cuda:0 Xavier : cudaMallocAsync
Using pytorch cross attention
****** User settings have been changed to be stored on the server instead of browser storage. ******
****** For multi-user setups add the --multi-user CLI argument to enable multiple user profiles. ******
Import times for custom nodes:
0.0 seconds: /home/userid/work/ComfyUI/custom_nodes/websocket_image_save.py
Starting server
To see the GUI go to: http://127.0.0.1:8188
3. 매니저 설치
$ cd ComfyUI
$ cd custom_nodes
$ git clone https://github.com/ltdrdata/ComfyUI-Manager.git
4. 실행 위한 쉘 작성
vi로 run_comfyui.sh 를 만든 후, 실행모드로 변경한다.( chmod 755 run_comfyui.sh)
$ vi run_comfyui.sh
#!/bin/bash
# activate the venv
source ~/venv/comfyui/bin/activate
# start comfyui
python3 main.py
5. 다시 실행
실행명령은 생략한다. 실행 후, 브라우저로 접속을 하면 Manager메뉴가 추가되어있다.
6. 모델 설치
- SDXL 1.0 base 모델 다운로드링크(sdXL_v10VAEFix.safetensors)
- SDXL 1.0 refiner 모델 다운로드링크(sdXL_v10RefinerVAEFix.safetensors)
- 추가적인 모델 다운로드 및 설명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한다.
Stable Diffusion - 체크포인트 모델에 관한 모든 것
이 글은 스테이블 디퓨전 초보자 가이드중 마지막 글입니다. Part 1 : 생초보 가이드 Part 2 : 프롬프트 작성법 Part 3 : 인페인트 Part 4 : 모델에 관한 모든 것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model), 혹은 체크포
www.internetmap.kr
위의 두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약 12Gb), ComfyUI\models\checkpoints 폴더에 저장을 한다. 다른 것도 다운받아서 저장해두고 시험해봐도 좋을 듯...
이제 사용해보자.. 되겠지.. ^^
반응형
'Jetson & 머신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gui 원격접속 (x2go 설치) (0) | 2025.02.17 |
---|---|
[3] YOLO기반의 신호등 신호 인식을 통한 신호변경 안내 및 앞 차 출발인식 시스템 구축(프로그래밍, 하드웨어 구성 포함) (0) | 2024.07.12 |
python 가상환경(venv) 사용하기 (0) | 2024.07.08 |
아주 간단한, 우분투 전원버튼으로 자동 Shutdown 종료 방법 (0) | 2024.07.08 |
[생활코딩#1] 이미지 학습 및 사물 인식 응용 방법 (0) | 2024.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