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Pi 6

라즈베리파이 이미지 히스토리 (Raspberry pi older image)

라즈베리 파이의 과거 버전을 설치하려면 아래의 링크에서 설치할 수 있다. Lite images: https://downloads.raspberrypi.org/raspbian_lite/images/ Index of /raspbian_lite/images downloads.raspberrypi.org 일자별로 이미지 파일이 등록되어있다. [DIR]raspbian_lite-2015-11-24/2015-11-24 02:51- [DIR]raspbian_lite-2016-02-08/2016-02-08 10:22- [DIR]raspbian_lite-2016-02-09/2016-02-09 21:17- [DIR]raspbian_lite-2016-02-29/2016-02-29 06:03- [DIR]raspbian_lite..

[WIPS 5번] 라즈베리파이 계정 생성 후에 Default계정 삭제

라즈베리 파이를 설치하고 난 뒤에 바로 수행해도 되는데, 한참을 미뤘다가 지금 하게 된다. 라즈베리파이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pi계정이 만들어진다. 이 계정을 갖고 보통 사용하게 되는데, 원칙은 이러한 일반적인 계정명은 삭제해야하는 것이 맞다. 그래서, wips용으로 운용 관리할 계정으로 wips 라는 이름으로된 계정을 만들어서 사용하려한다. 계정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adduser 명령어를 사용한다. 직접 /etc/passwd 파일을 수정하여 만들수도 있겠지만, 명령어를 이용한 계정을 만드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 sudo adduser wips Adding user `wips' ... Adding new group `wips' (1001) ... Adding new user `wips' (1..

[WIPS 2번] 라즈베리파이 Lite 버전에 USB 무선랜(8812bu칩셋 5Ghz) 드라이버 설치

이 글은, 바로 이전 글에 이어지는 것입니다. OS의 Lite버전 설치한 직후 한 것입니다. makejarvis.tistory.com/93 라즈베리파이 OS Lite 설치 후 기본 설정하기 라즈베리파이 OS의 최소설치 버전을 찾아봤지만, 예전 이미지는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것 같아서(실제로는 자세히 찾아보지는 않아서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Lite버전을 다운 makejarvis.tistory.com 라즈베리파이 OS의 Lite버전에 USB 무선랜을 꽂았을 경우 인식되지 않았다. Desktop용으로 설치를 했었어야 하나 싶은데, 남는 SD메모리가 보이지 않아서, 이것으로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설치해보리라 생각하고 진행한다. 최종 결론이 Full 설치하는 것이 되지 않기를 바라면서.. ^..

부팅할 때, 자동으로 프로그램 실행하기

라즈베리파이에 전원을 넣었을 때, 즉, 부팅이 되었을 때 바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해보자. 몇가지 방법이 있지만, 라즈베리파이에 설치한 kali 리눅스에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먼저, /etc/init.d/wips 파일을 생성하여, 아래 내용의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 cd /etc/init.d # sudo vi wips /etc/init.d/wips 파일 안의 내용은 아래와 같이 만든다. #!/bin/sh case "$1" in start) eval "cd /home/pi/wips/" echo "Starting WIPS Sensor" eval "./start_wips.sh &" ;; stop) echo "WIPS Sensor stopped" eval "pkill wips" ;; *) echo "U..

gccmakedep command not found 가 나올 때

gccmakedep command not found 오류가 나타날 때가 있다. 라즈베리파이 image를 설치를 하면 웬만하면 이런 것들은 설치가 되어있었으면 하는데, 어떤 버전은 설치가 되어있기도 하고, 어떤 버전은 직접 추가 설치를 해야 하는 것 같다. 이 오류를 없애려면, 아래의 패키지를 설치하면 된다. # sudo apt-get install xutils-dev 참고로, CentOS에서는 패키지 명이 다르다. 아래의 명령으로 설치할 수 있다. # sudo yum install imake

라즈베리파이 제로(raspberry pi zero w) 사용시, CLI모드로 부팅

라즈베리파이1 또는 라즈베리파이 제로 등의 예전 모델을 사용하려고 하니, 성능이 많이 늦어서 한참만에 부팅이 완료되어서 불편한 점이 많다. 이것을 DESKTOP으로 대신 사용할 것이 아니라, 단지 OS로서만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돌리는 것이 목적이니, 굳이 GUI화면을 띄울 필요성이 없다. 라즈베리파이에 OS를 설치하는 것은 다른 글을 참고해서 설치하면 될 것이고, 아래에는 설치 후에 CLI모드로 부팅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GUI를 사용할 경우, 마우스 움직임, 프로그램 실행 등의 속도가 아주 늦다. 답답할 수준임(라즈베리파이3,4 같은 것은 불편함이 안느껴진다.) 물론, rasbian 을 설치한 경우는 속도가 어느 정도 나겠지만, rasbian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이 불편하여, 라즈베리파이용 k..